1. 기초 컨셉과 컴퓨터 발전
<컴퓨터의 개요>
● 컴퓨터란 무엇인가?
-> 컴퓨터는 자체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명령어(소프트웨어)에 제어 하에 작동되는 전자기기이다. 이것은 데이터(입력)를 받고, 데이터(프로세스)를 조작, 프로세싱으로부터 정보(출력)를 생산한다.
-> 일반적으로, 컴퓨터는 시스템으로서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장치들의 모임을 나타낼 때 사용되는 단어이다.
●컴퓨터는 무엇을 하나?
-> 입력, 프로세스, 출력&데이터 저장
●컴퓨터의 구조
-> Processor = CPU, Input&Output = I/O, Memory&Storage = Memory
-> 컴퓨터의 3가지 구성요소 = 1.프로세서(CPU) 2.메모리 3.I/O
<사이즈와 용량에 의한 컴퓨터의 분류>
● 사이즈에 따라 주로 6가지의 카테고리로 컴퓨터가 분류될 수 있다.
● 일반적으로, 컴퓨터의 사이즈는 처리능력을 결정한다. 큰 컴퓨터가 더 높은 처리속도를 가진다.
반면 작은 것은 더 나은 Personal Computing을 제공한다.
//Personal Computing : 표준적 중형 시스템보다는 소형일 뿐만 아니라 가격이 싸고,
휴대가 가능하고 쉽게 사용하기가 쉬운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한 계산.
● 각각의 카테고리는 특정기능을 잘 수행한다.
-> 슈퍼컴퓨터 // ex) 기상청, 군사용, 게놈지도분석
-> 메인프레임(Mainframes) // ex) 금융권, 네이버, 구글, 아마존
-> 미니컴퓨터(Mini-computers)
-> 서버 // ex) 대학연구실, 여러명의 퍼스널컴퓨터의 데이터를 모음
-> 퍼스널컴퓨터(Personal computer) // ↑General purpose computer, ex) 노트북, 데스크탑
-> 임베디드시스템(Embedded systems) // Specific purpose computer
<임베디드 시스템 구성>
● 전형적인 임베디드 시스템은 싱글 칩 컨트롤러를 포함한다, 그 칩은 시스템의 마스터 브레인 역할을 수행한다.
//임베디드 시스템은 일반적인 시스템에 비해서는 다양한 Communication Interface가 있다.
<왜 컴퓨터 구조를 공부하는가?>
● 재미있다.
-> 무어의 법칙은 컴퓨터는 점점 더 급격하게 발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.
-> 이같이 매년 가지고 놀 수 있는 기하급수적인 많은 양의 레고를 어디서 얻을 수 있을까?
->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영역은 완전히 색다른 디자인으로 인도한다.
-> GPU
-> Phones
-> Data Center
-> Wearable
-> Implantable processors
-> Quantum, Biological, etc ..
-> 컴퓨터 과학의 아이디어는 하드웨어 디자인에 갈수록 더 적용 가능하다.
-> 더 빠르고, 더 작고, 더 높은 에너지 효율성 있는 것을 만드는 게 수요가 높다.
● 성능의 관점
-> 컴퓨터가 어떻게 동작하는 모르면, 어떻게 코드의 속도를 빨라지게 할 수 있나?
● 훌륭한 컴퓨터 과학자들은 whole stack(하드웨어+소프트웨어)을 알고 있다.
● 마지막 이유
-> 고용주는 다방면에 걸쳐 많이 아는 사람, 모든 구조를 아는 사람을 고용하고 싶어한다.
-> 그것 모두를 이용하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지 누가 알겠는가?
'임베디드구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임베디드구조)#13 Instruction Sets: Addressing Modes and Formats (3) | 2020.06.04 |
---|---|
임베디드구조)#12 Instruction Sets: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(2) (0) | 2020.05.28 |
임베디드구조)#12 Instruction Sets: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(1) (0) | 2020.05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