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

(12)
임베디드구조)#12 Instruction Sets: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(2) ■ 다른 opcode의 수는 기계에 따라 다양하지만, 같은 범용 종류의 동작도 다른 머신에서 찾아진다. 유용하고 전형적인 카테고리는 아래와 같다:-> 데이터 전송 //Data storage-> Arithmetic //Data processing-> Logical //Data processing-> Conversion //Data processing-> I/O //Data movement-> System control //Branch-> Transfer of control //Branch ■ Table 12.3([HAYE98]를 기초로 하는)은 각 카테고리 안에 공용 명령어 타입을 나열한다.■ 이 섹션은 특정 타입의 동작(Table 12.4에 의해 요약된)을 실행하기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취해지는 행동을 ..
운영체제)#11 System Call의 이해 : 어셈블리어 (PC버전) (2) ■ INC (INCrement)-> 형식 : INC OP reg //Segment register 사용 불가 mem -> 기능 : OP ← OP+1 ex) MOV AX, 5 INC AX //결과 AX = 6 ■ DEC (DECrement)-> 형식 : DEC OP reg mem -> 기능 : OP ← OP-1 ex) MOV DL, 10 DEC DL //결과 DL = 9 ■ 에코(echo) 있는 입력 //에코는 내가 입력한 값을 알려주는 것MOV AH, 1INT 21H//Function code가 1인 System call//입력된 문자의 ASCII 코드는 AL에 저장 ■ 에코(echo) 없는 입력MOV AH, 8INT 21H//Function code가 8인 System call//입력된 문자의 ASCI..
임베디드구조)#12 Instruction Sets: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(1) ■ 이 챕터에서 다뤄질 대부분의 것들은 컴퓨터 사용자나 프로그래머가 평소에 쉽게 알만한 것은 아니다. ■ 하드웨어를 설계하는 컴퓨터 디자이너와 소프트웨어를 설계하는 컴퓨터 프로그래머는 기계명령어 셋(machine instruction set)을 통해서 소통한다.-> 디자이너의 관점에서, 기계 명령어 셋은 프로세서에게 기능적인 요구를 제공한다, 기계 명령어 셋을 실행하는 것도 포함-> 기계어(어셈블리어)로 프로그래밍하는 사용자는 레지스터와 메모리 구조, 기계와 ALU 기능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원되는 데이터의 타입에 대해서 잘 터득할 수 있다. ■ 컴퓨터 기계명령어 셋의 설명은 컴퓨터 프로세서를 설명하기 이전에 알아두면 좋다. 따라서 이번과 다음 포스팅에서 기계명령어에 대해 알아보자. ■ 프로세서의 동작은 ..
임베디드구조)#1 Basic Concepts and Computer Evolution(1) 1. 기초 컨셉과 컴퓨터 발전 ● 컴퓨터란 무엇인가?-> 컴퓨터는 자체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명령어(소프트웨어)에 제어 하에 작동되는 전자기기이다. 이것은 데이터(입력)를 받고, 데이터(프로세스)를 조작, 프로세싱으로부터 정보(출력)를 생산한다.-> 일반적으로, 컴퓨터는 시스템으로서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장치들의 모임을 나타낼 때 사용되는 단어이다. ●컴퓨터는 무엇을 하나?-> 입력, 프로세스, 출력&데이터 저장 ●컴퓨터의 구조-> Processor = CPU, Input&Output = I/O, Memory&Storage = Memory-> 컴퓨터의 3가지 구성요소 = 1.프로세서(CPU) 2.메모리 3.I/O ● 사이즈에 따라 주로 6가지의 카테고리로 컴퓨터가 분류될 수 있다.● 일반적으로, 컴퓨터의..